□ 2019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은 39.2:1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가 지난달 20∼23일 국가직 9급 공채선발시험 원서를 접수한 결과, 4,987명 선발에 총 19만 5,322명이 지원했다.
○올해 지원인원은 지난해(4,953명 선발/20만 2,978명 접수)에 비해 7,656명 줄었으며, 경쟁률도 약간 낮아졌다.
* 최근 경쟁률 : 2016년 53.8:1, 2017년 46.5:1, 2018년 41.0:1
□ 모집 분야별로는 행정직군은 17만 1,562명(4,350명 선발)이 지원하여 39.4:1, 기술직군은 2만 3,760명(637명 선발)이 원서를 접수하여 37.3:1의 경쟁률을 보였다.
○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낸 분야는 행정직군은교육행정(일반)으로60명 모집에 1만 292명이 지원하여 171.5:1을 기록했고, 기술직군에서는방재안전직이 3명 모집에 593명이 지원하여 197.7:1을 나타냈다.
○ 지역구분모집에서는 일반행정(부산)이 4명 모집에 862명이 지원하여 215.5:1의 경쟁률을 보였다.
구 분
|
선발예정인원
|
접수인원
|
경쟁률
|
합계
|
4,987명
|
195,322명
|
39.2:1
|
행정직
|
일 반
|
3,996명
|
165,885명
|
41.5:1
|
장애인
|
236명
|
2,851명
|
12.1:1
|
저소득
|
118명
|
2,826명
|
23.9:1
|
기술직
|
일 반
|
571명
|
23,295명
|
40.8:1
|
장애인
|
48명
|
231명
|
4.8:1
|
저소득
|
18명
|
234명
|
13.0:1
|
□ 지원자의 평균 연령은29.0세이며,연령대별로는 20대가 61.34%로 가장 많고, 30대 31.2%, 40대 5.5% 순이었다. 50세이상은 0.6%였다.
○ 전체 지원자 중 여성 비율은 54.6%로 지난해(54.1%)와 비슷했다.
□ 황서종 처장은 “9급 공채 시험은 수험생이 가장 많이 지원하는 시험인 만큼, 철저히 준비하여 시험이 공정하고 안정적으로 치러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9급 공채 필기시험은 오는4월 6일(토) 전국 17개 시·도에서 실시되며,시험장소는 3월 29일(금)에 사이버국가고시센터(http://gosi.kr)에서 안내한다. 필기시험 합격자는 5월 7일(화)에 발표한다.
2019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시험 접수현황
|
□전년대비 접수인원
구 분
|
선발예정인원
|
접수인원(경쟁률)
|
2019년
|
2018년
|
2019년
|
2018년
|
계
|
4,987명
|
4,953명
|
195,322명 (39.2대1)
|
202,978명 (41.0대1)
|
행정직
|
4,350명
|
4,504명
|
171,562명 (39.4대1)
|
180,038명 (40.0대1)
|
기술직
|
637명
|
449명
|
23,760명 (37.3대1)
|
22,940명 (51.1대1)
|
□성별
구 분
|
총 계
|
남
|
여
|
2019
|
195,322명
|
88,640명(45.4%)
|
106,682명(54.6%)
|
2018
|
202,978명
|
93,192명(45.9%)
|
109,786명(54.1%)
|
□연령별
구 분
|
총 계
|
18~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세이상
|
비 고
(평균연령)
|
2019
|
195,322명
|
2,392명
(1.2%)
|
120,048명
(61.4%)
|
60,975명
(31.2%)
|
10,774명
(5.5%)
|
1,133명
(0.6%)
|
29.0세
|
2018
|
202,978명
|
2,213명
(1.1%)
|
125,651명
(61.9%)
|
62,951명
(31.0%)
|
11,027명
(5.4%)
|
1,136명
(0.6%)
|
29.3세
|
9급 공채 직렬별 원서접수 세부내역
모집단위
|
2019년
|
접수인원
|
선발예정인원
|
경쟁률
|
총 계
|
195,322
|
4,987
|
39.2
|
행정직 계
|
171,562
|
4,350
|
39.4
|
행정직(일행:전국:일반)
|
33,539
|
294
|
114.1
|
행정직(일행:전국:장애)
|
677
|
23
|
29.4
|
행정직(일행:전국:저소득)
|
687
|
9
|
76.3
|
행정직(일행:지역:일반)
|
14,184
|
123
|
115.3
|
행정직(일행:지역:장애)
|
404
|
7
|
57.7
|
행정직(일행:우본:전국:저소득)
|
374
|
19
|
19.7
|
행정직(일행:우본:지역:일반)
|
16,570
|
595
|
27.8
|
행정직(일행:우본:지역:장애)
|
392
|
48
|
8.2
|
행정직(일행:경찰청:전국:일반)
|
15,894
|
344
|
46.2
|
행정직(일행:경찰청:전국:장애)
|
366
|
27
|
13.6
|
행정직(일행:경찰청:전국:저소득)
|
301
|
11
|
27.4
|
행정직(일행:병무청:전국:일반)
|
1,042
|
31
|
33.6
|
행정직(일행:병무청:전국:장애)
|
21
|
3
|
7.0
|
행정직(일행:병무청:전국:저소득)
|
19
|
1
|
19.0
|
행정직(고용노동:전국:일반)
|
6,120
|
273
|
22.4
|
행정직(고용노동:전국:장애)
|
233
|
22
|
10.6
|
행정직(고용노동:전국:저소득)
|
119
|
8
|
14.9
|
행정직(교육행정:일반)
|
10,292
|
60
|
171.5
|
행정직(교육행정:장애)
|
206
|
5
|
41.2
|
행정직(교육행정:저소득)
|
140
|
1
|
140.0
|
행정직(선거행정:일반)
|
1,590
|
60
|
26.5
|
행정직(선거행정:장애)
|
55
|
5
|
11.0
|
행정직(선거행정:저소득)
|
23
|
1
|
23.0
|
직업상담직(직업상담:일반)
|
2,660
|
48
|
55.4
|
직업상담직(직업상담:장애)
|
40
|
4
|
10.0
|
직업상담직(직업상담:저소득)
|
38
|
1
|
38.0
|
세무직(세무:일반)
|
19,319
|
855
|
22.6
|
세무직(세무:장애)
|
343
|
69
|
5.0
|
세무직(세무:저소득)
|
353
|
27
|
13.1
|
관세직(관세:일반)
|
4,820
|
194
|
24.8
|
관세직(관세:장애)
|
84
|
16
|
5.3
|
관세직(관세:저소득)
|
56
|
7
|
8.0
|
통계직(통계:일반)
|
1,331
|
78
|
17.1
|
통계직(통계:장애)
|
30
|
7
|
4.3
|
통계직(통계:저소득)
|
39
|
3
|
13.0
|
교정직(교정:남)
|
6,992
|
219
|
31.9
|
교정직(교정:여)
|
1,132
|
20
|
56.6
|
교정직(교정:저소득)
|
148
|
7
|
21.1
|
보호직(보호:남)
|
3,296
|
177
|
18.6
|
보호직(보호:여)
|
3,286
|
77
|
42.7
|
보호직(보호:저소득)
|
132
|
7
|
18.9
|
검찰직(검찰:일반)
|
12,031
|
250
|
48.1
|
검찰직(검찰:저소득)
|
213
|
7
|
30.4
|
마약수사직(마약수사:일반)
|
576
|
9
|
64.0
|
출입국관리직(출입국관리:일반)
|
9,956
|
261
|
38.1
|
출입국관리직(출입국관리:저소득)
|
167
|
8
|
20.9
|
철도경찰직(철도경찰:일반)
|
1,255
|
28
|
44.8
|
철도경찰직(철도경찰:저소득)
|
17
|
1
|
17.0
|
기술직 계
|
23,760
|
637
|
37.3
|
공업직(일반기계:일반)
|
2,493
|
44
|
56.7
|
공업직(일반기계:장애)
|
31
|
4
|
7.8
|
공업직(일반기계:저소득)
|
26
|
1
|
26.0
|
공업직(전기:일반)
|
2,287
|
30
|
76.2
|
공업직(전기:장애)
|
22
|
3
|
7.3
|
공업직(전기:저소득)
|
35
|
1
|
35.0
|
공업직(화공:일반)
|
1,414
|
26
|
54.4
|
공업직(화공:장애)
|
6
|
3
|
2.0
|
공업직(화공:저소득)
|
16
|
1
|
16.0
|
농업직(일반농업:일반)
|
3,452
|
122
|
28.3
|
농업직(일반농업:장애)
|
30
|
9
|
3.3
|
농업직(일반농업:저소득)
|
36
|
4
|
9.0
|
임업직(산림자원:일반)
|
1,842
|
47
|
39.2
|
임업직(산림자원:장애)
|
12
|
4
|
3.0
|
임업직(산림자원:저소득)
|
19
|
1
|
19.0
|
시설직(일반토목:일반)
|
3,863
|
97
|
39.8
|
시설직(일반토목:장애)
|
35
|
8
|
4.4
|
시설직(일반토목:저소득)
|
27
|
3
|
9.0
|
시설직(건축:일반)
|
2,660
|
26
|
102.3
|
시설직(건축:장애)
|
29
|
3
|
9.7
|
시설직(건축:저소득)
|
25
|
1
|
25.0
|
방재안전직(방재안전)
|
593
|
3
|
197.7
|
전산직(전산개발:일반)
|
3,218
|
83
|
38.8
|
전산직(전산개발:장애)
|
55
|
7
|
7.9
|
전산직(전산개발:저소득)
|
39
|
3
|
13.0
|
전산직(정보보호:일반)
|
268
|
8
|
33.5
|
방송통신직(전송기술:일반)
|
1,205
|
85
|
14.2
|
방송통신직(전송기술:장애)
|
11
|
7
|
1.6
|
방송통신직(전송기술:저소득)
|
11
|
3
|
3.7
|
9급 공채 지역구분모집 지역별 원서접수 세부내역
응시직렬
|
지역명
|
2019년
|
접수인원
|
선발예정인원
|
경쟁률
|
지역구분모집 계
|
31,550
|
773
|
40.8
|
행정
일행:지역
(일반)
|
소 계
|
14,184
|
123
|
115.3
|
서울·인천·경기
|
4,017
|
23
|
174.7
|
강원
|
977
|
16
|
61.1
|
대전·세종·충남·충북
|
1,944
|
16
|
121.5
|
광주·전남
|
1,353
|
16
|
84.6
|
전북
|
1,044
|
11
|
94.9
|
대구·경북
|
1,885
|
16
|
117.8
|
부산
|
862
|
4
|
215.5
|
울산·경남
|
1,651
|
13
|
127.0
|
제주
|
451
|
8
|
56.4
|
행정
일행:지역
(장애인)
|
소 계
|
404
|
7
|
57.7
|
서울·인천·경기
|
144
|
1
|
144.0
|
강원
|
25
|
1
|
25.0
|
대전·세종·충남·충북
|
57
|
1
|
57.0
|
광주·전남
|
24
|
1
|
24.0
|
전북
|
30
|
1
|
30.0
|
대구·경북
|
59
|
1
|
59.0
|
울산·경남
|
65
|
1
|
65.0
|
행정
우본:지역
(일반)
|
소 계
|
16,570
|
595
|
27.8
|
서울
|
2,404
|
105
|
22.9
|
인천·경기
|
3,160
|
102
|
31.0
|
강원
|
1,109
|
42
|
26.4
|
대전·세종·충남·충북
|
2,317
|
78
|
29.7
|
광주·전남
|
2,136
|
94
|
22.7
|
전북
|
1,035
|
44
|
23.5
|
대구·경북
|
2,364
|
67
|
35.3
|
부산·울산
|
1,208
|
38
|
31.8
|
경남
|
517
|
8
|
64.6
|
제주
|
320
|
17
|
18.8
|
행정
우본:지역
(장애인)
|
소 계
|
392
|
48
|
8.2
|
서울
|
65
|
8
|
8.1
|
인천·경기
|
64
|
8
|
8.0
|
강원
|
23
|
3
|
7.7
|
대전·세종·충남·충북
|
71
|
7
|
10.1
|
광주·전남
|
37
|
8
|
4.6
|
전북
|
22
|
4
|
5.5
|
대구·경북
|
59
|
5
|
11.8
|
부산·울산
|
32
|
3
|
10.7
|
경남
|
9
|
1
|
9.0
|
제주
|
10
|
1
|
1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