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김
>

공무원

Ai 강좌만
Home >수강신청 >단강좌
김지아
교수
기본이론 / 교육학
2024 김지아 교육학개론 이론
강의촬영(스튜디오) : 2023년 07월
강의수 : 35강
수강기간 : 60일
무제한 완강
강좌
강좌정보 보기 ▼
2024 김지아 교육학개론 이론
주교재 2023 지아쌤의 교육학개론 27,000원 (↓10%)
총 주문금액
강좌 0
교재 0
0
강좌정보
강좌소개

2024 김지아 교육학개론 이론

- 쉬게 이해 할 수 있는 이래 중심이론 과정입니다.

- 강의일정 : 7-8월 진행 과정

- 강의교재 : 2023 지아쌤의 교육학개론

교재정보
2023 지아쌤의 교육학개론
  • 분야 : 9급공무원 |
  • 저자 : 김지아 |
  • 출판사 : 에듀에프엠 |
  • 판형/쪽수 : / 576
  • 출판일 : 2022-08-10 |
  • 교재비 : 27,000원 (↓10%) [판매중]

고3 대학원서를 쓰던 때, 원하는 대학보다는 무조건 교육학과에 가고 싶었다. 그 당



시 ‘교육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라고 생각했었고, 마치 교육 사회에서 다루고 있는



‘평등주의 교육관’처럼 교육을 통해 세상을 평등하게 만들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교육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믿었다. 시간이 흘러 오히려 평등한 세상을 만들



기보다는 기존의 계층구조를 재생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



이지만, 여전히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의 본질적인 가능성을



믿고 있다.

 

만하임(Karl Mannheim)과 같은 지식사회학자는 우리의 마음, 상상, 생각, 나아가



과학적 진리로 제시하는 이론까지도 그 자체가 실체가 있는 독립변수가 아니라 물질적



존재 조건에 의하여 결정되는 종속변수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의 생각은 그



가 처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고, 존재가 인식을 결정한다는 마르크스의 주장과도 닿아



있다. 이 관점에 따르면 부자의 꿈(생각)과 가난한 자의 꿈이 같을 수 없다. 그러나 만



하임의 지식의 존재피구속성, 인간의 생각이 그가 처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면 인간



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 또한 그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존재가 지식을 결정한다는 주장이 참이라면 지식이 존재를 결정한다는 주장도 참인 것



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존재 또한 지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어떤 꿈을



꾸는가가 그 사람의 존재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여전히 교육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꿈을 꾸고 있다.



 



이 책은 교육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을 위한 수험서



이면서 교육학을 전공하는 사범대생과 교직 전공자들을 위한 입문서이다. 특히, 교육



행정직 공무원으로 교육 현장에서 일하기를 희망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교육을 통해 좀더 좋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꿈을 여러분들과 함께 이루고 싶다는



생각으로 2007년도부터 2022년 사이에 출제된 기출문제와 교원임용 시험 분석을 시



작으로 지난 수개월에 걸쳐 작업한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교육학개론 수준의 난이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기출문제 분석의 첫 번째 목적은 ‘시험에 나오는 내용만을 엄선하기’위해서였다. 최



초의 가정은 교육행정직 시험의 교육학개론과 교원임용의 교육학 문제가 서로 다른 범



위를 가질 것으로 생각했었는데,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교육행정직의 교



육학개론이나 교원임용의 교육학 시험의 출제 범위가 다르다기보다는 같은 내용을 다



루더라도 그 깊이와 난이도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는 것이었다.



교원임용 시험과목이 교육학인데 반해 9급 공무원 시험과목은 교육학개론으로 표기



되어있다. ‘학개론’이라는 것이 보통 해당 학문 초심자들에게 전체 학문의 기본적인 내



용을 가르치고자 하는 것을 의도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내용을 골고루 다루더라도 그



깊이에 있어서는 ‘교육학’과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교육학개론 수준의 난이도로 구성하였다. 다만, 요즘 공무원시험



의 교육학개론 또한 예전의 단순 암기식 지식인출 수준에서 종합적인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들이 대거 출제되고 있는 사정을 고려해서, 학생들은 암기 위주라기보다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기본개념들에 대한 요약 및 정리가 필요하다.



 



둘째, 입문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서술식 구조를 선택하였다.



개조식 구조나 도식형의 경우에 요약 ․ 정리 단계에서는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교



육학을 처음 접하는 입문자들이거나 기본개념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구조가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근의



출제 경향이 단순한 지식인출의 단계에서 종합적인 이해의 수준이 요구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상력이나 개인적인 경험이라는 사전 지식 등이 개입될 여지



가 없는 개조식과 도식형 방식보다는 서술식 구조를 통해 교육학 개론의 전체적인 내



용을 학습자 각각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구조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



았다.



 



셋째, 최근 법 개정 내용 및 교육 관련 현안을 포함시켰다.



교육기본법(22년 3월 25일 시행), 초 ․ 중등교육법(22년 7월 21일 시행), 고등교육법



(2022년 3월 24일 시행), 사립학교법(22년 3월 25일 시행) 등이 최근에 개정이 되어



2022년 시행되었다. 또한 2021년 7월 21일 제정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



한 법률은 2022년 7월 21일 시행됨과 동시에 현재 많은 논쟁의 중심에 있다.



이러한 최근의 법 개정 내용과 함께 현재 교육과 관련된 이슈들, 가령 국가교육위원



회, 고교학부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포함했다.



 



넷째, 로드맵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목차를 구성하였다.



2007년도부터 2022년도에 걸친 기출문제를 분석한 뒤에 이를 바탕으로 교육학 개



론의 목차를 구성하여 중요한 내용이 빠짐없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이



목차가 전체 책 내용에 대한 로드맵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므로 내용을



학습한 후에 목차를 로드맵으로 활용하여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점검하고 광



범위한 내용에 있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전체 내용을 골고루 숙지할 수 있는



균형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교재 중간 중간에 기출 문제를 수록하였다.



내용을 학습한 후에 바로 이어서 제시되는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봄으로써 방금 학습



한 내용의 실제 출제 경향 및 중요도 등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비교적 최근의



문제이면서 종합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들을 통해 학습한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재에 실린 기출문제에 대한 분석은 기본개념 강의



시간에 함께 다루면서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여섯째, 기본개념 강의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교재이다.



처음부터 기본개념 강의를 염두에 두고 교재를 만들기 시작한 만큼 강의와 교재 모



두 없어서는 안 되는 수어지교(水魚之交)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강의와 교



재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물과 물고기의 관계처럼 두 가지가 함께 병행되어



야 한다.



 



끝으로 본 교재의 출간을 위해 늘 곁에서 아낌없는 사랑과 지지를 보내주신 사랑하



는 가족과 친구들을 비롯해 여러 가지로 애써주신 에듀에프엠 대표님, 이사님 이하 편



집부 직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2022년 7월



김 지아

CHAPTER 0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Ⅰ 교육의 정의 ··············································································· 18




교육의 어원 / 19


교육의 비유 / 20


교육의 정의 방식 / 22


교육의 대표적 정의 / 25



Ⅱ 교육의 목적과 교육학의 성격························································· 30




교육의 목적 / 30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31



 



CHAPTER 02 교육의 역사와 철학적 이해



제1부 한국교육사 34



Ⅰ 고대 시기의 교육········································································· 34




상고 시기의 교육 / 35


고대 삼국 시기의 교육 / 36


남북국 시기의 교육 / 38



Ⅱ 고려시대의 교육·········································································· 43




국자감의 창설과 변천 / 43


사학 십이도의 발달(십이공도) / 45


향교와 학당, 서당 / 46


과거제도 / 47



Ⅲ 조선 전기의 교육········································································ 49




훈민정음 창제와 문화적 발전 / 49


학교제도의 정비 / 50


과거제도의 정비 / 56


자찬교재의 등장과 활용 / 57



Ⅳ 조선 중 ․ 후기의 교육·································································· 60




서원의 등장과 발달 / 60


조선 후기의 향교와 서원 / 62


향촌 서당의 발달과 교육체제의 재편 / 62


자찬교재의 교육사상 / 64



Ⅴ 근대 시기의 교육······································································· 67




신식학교의 등장과 발달 / 67


갑오 ․ 광무개혁과 근대교육의 제도화 / 70


통감부 시기와 일제 강점기 / 72



 



제2부 서양교육사 75



Ⅰ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교육··················································· 75




고대 그리스의 교육 / 75


고대 로마시대의 교육 / 82



Ⅱ 중세 기독교 사회의 교육···························································· 85




학교교육의 흔적 / 85


대학의 발생 / 86


교육사상가 / 86



Ⅲ 근대 초기의 교육······································································ 89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 복선제 및 공교육의 초보적 기초 형성 / 89


실학주의(리얼리즘) 교육사상 / 91



Ⅳ 근대 후기의 교육······································································ 94




계몽주의 교육 / 94


신인문주의 / 94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 97



 



CHAPTER 03 현대교육철학



Ⅰ 교육철학의 성격과 방법···························································· 102




교육철학의 성격 / 102


교육철학의 방법 / 105



Ⅱ 20세기 전반의 교육철학 사조···················································· 108




진보주의 / 108


항존주의 / 112


본질주의 / 113


실존주의 / 114



Ⅲ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사조···················································· 116




분석적 교육철학 / 116



Ⅳ 비판적 교육철학으로의 확장····················································· 122




비판이론과 비판적 교육학 / 122



 



CHAPTER 04 교육심리 상담 및 평가



제1부 학습자의 이해 128



Ⅰ 인지발달·····································································128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129


비고츠키(L.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 134


피아제 이론과 비고츠키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 135



Ⅱ 성격 및 사회성 발달····································································· 137




성격의 발달 / 137


사회성 발달 / 146



Ⅲ 도덕성 발달······································································ 149




피아제(J.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 149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 150


길리건(C. Gilligan)의 도덕성 발달이론 / 151



Ⅳ 지능과 창의성······································································ 153




지능 / 153


창의성 / 157



Ⅴ 특수학습자····································································· 160




영재교육 / 160


특수교육 / 161



Ⅵ 인지 양식과 학습유형······································································ 164




인지 양식 / 164


학습유형 / 165



 



제2부 교수-학습의 이해 168



Ⅰ 행동주의 학습이론····································································· 168




고전적 조건형성 / 170


조작적 조건형성 / 171


사회인지 학습이론 / 175



Ⅱ 인지주의 학습이론····································································· 178




통찰학습 / 178


정보처리이론 / 179



Ⅲ 동기화이론····································································· 184




행동주의 강화이론 / 184


인본주의적 동기이론 :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위계 / 185


자기결정성 이론 / 186


목표지향성 이론 / 187


인지적 동기이론 : 귀인이론 / 188



 



제3부 생활지도 및 상담 190



Ⅰ 생활지도····································································· 190




생활지도의 원리 / 190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 191



Ⅱ 상담····································································· 193




정신분석 상담이론 / 193


행동주의 상담이론 / 194


인본주의적 상담이론 / 196


인지적 상담이론 / 199



 



제4부 평가 및 측정 205



Ⅰ 교육평가····································································· 205




평가의 의미 및 목적 / 205


평가의 종류 / 209


정의적 특성 측정 / 213


수행평가 / 217



Ⅱ 측정······································································ 220




좋은 측정도구 및 검사도구의 조건 / 220


문항제작, 분석 및 해석 / 226



 



CHAPTER 05 교육사회



Ⅰ 교육의 사회적 기능····································································· 242




교육평등론 / 243


교육선발과 시험 / 249


교육의 확대와 원인 / 257


학업성취격차와 요인 / 262



Ⅱ 교육사회학 이론:교육을 이해하는 이론적 관점들······························ 264




기능론적 관점 / 267


갈등론적 관점 / 275


해석적 관점 / 287


구조론적 관점 / 292


포스트모던(post-modernism)적 관점 / 294


신자유주의적 관점 / 296



Ⅲ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 301




신교육사회학의 등장 / 301


교육과정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정당화 / 304


지식의 계층화와 불평등 재생산 / 304


교육과정의 조직 원리와 사회질서의 유지 및 통제 / 305



Ⅳ 다문화 사회와 교육불평등····································································· 307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론적 관점 / 307


다문화 사회의 교육불평등 / 310


다문화교육 / 313



 



CHAPTER 06 평생교육



Ⅰ 평생교육의 이론적 기초······································································ 318




평생교육의 개념 / 318


평생교육의 이념적 지향 / 322



Ⅱ 평생교육의 실제····································································· 328




지역사회와 평생교육 : 평생학습 도시 / 328


학교와 평생교육 / 329


평생교육의 주요제도 / 330



 



CHAPTER 07 교육과정



Ⅰ 교육과정의 개념 및 유형······································································· 346




교육과정의 개념 / 346


교육과정의 유형 / 347



Ⅱ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350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 / 350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 356


교육과정 실행 / 361



Ⅲ 교육과정의 평가······································································ 363



Ⅳ 교육과정 발달의 역사······································································· 367




교과중심 교육과정 / 367


경험중심 교육과정 / 367


학문중심 교육과정 / 369


인간중심 교육과정 / 370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운동(재개념주의) / 371



Ⅴ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374




개요 / 374


2015 개정 교육과정 / 374


2022 개정 교육과정 / 381



 



CHAPTER 08 교수-학습이론 및 교육공학



제1부 교수-학습이론 386



Ⅰ 교수자 중심 교수-학습이론(인지적 관점)························································· 386




브루너의 발견학습 / 386


오수벨의 유의미학습을 위한 설명식 교수이론 / 389



Ⅱ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이론(구성주의적 관점)··················································· 391




인지적 도제학습이론 / 391


상보적 교수법 / 393


문제중심학습 / 393


상황학습이론 / 394


인지적 유연성 이론 / 396



 



제2부 교육공학 398



Ⅰ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398




교육공학의 정의 / 398


교육공학의 영역 / 399



Ⅱ 수업체제설계모형····································································· 402




ADDIE 모형 / 402


딕과 케리(W. Dick & L. Carey)의 수업체제설계모형 / 404


하이니히의 ASSURE 모형 / 406



Ⅲ 수업설계이론······································································ 409




가네(R. Gagn é)의 학습의 조건 / 409


켈러(M. Keller)의 ARCS 동기이론 / 413



Ⅳ 교수방법····································································· 416




강의법 / 416


토의법 / 416


협동학습 / 417


프로젝트중심 학습 / 420



Ⅴ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421




수업과 테크놀로지 / 421


테크놀로지 활용 교실 수업 / 422



 



CHAPTER 09 교육행정



Ⅰ 교육행정의 개념 및 이론발달······································································· 430




교육행정의 개념의 이해 / 430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 438



Ⅱ 학교조직론······································································ 444




조직의 형태 / 444


조직의 유형 / 444


학교조직의 성격 / 449


학교문화와 풍토 / 452



Ⅲ 리더십 이론······································································· 458




전통적인 리더십 이론 / 458


새로운 리더십 이론 / 465



Ⅳ 동기이론······································································ 468




동기의 내용이론 / 468


동기의 과정이론 / 473



Ⅴ 교육정책 과정과 결정모형······································································ 479




교육정책 과정 / 479


교육정책 결정모형 / 482


의사소통과 갈등관리 / 485



Ⅵ 교육법······································································· 488




교육법의 체계와 내용 / 488


법 적용의 우선 원칙 / 494


교육 관련 주요 법령 / 494


교원의 권리와 의무 / 512



Ⅶ 지방교육자치제······································································· 514




국가교육행정의 체계 / 514


지방교육자치제도 / 516


학교자율경영 / 520



Ⅷ 교육재정론······································································ 527




교육비 분류 / 527


교육재정제도 / 529


학교회계제도 / 538


학교 예산편성 기법 / 541



Ⅸ 교육인사행정······································································· 545




교육인사행정의 정의와 관점 / 545


교직에 대한 이해 / 546



Ⅹ 교원의 능력개발······································································ 554




교원의 연수 / 554


교원인사이동(승진 및 전직



․ 전보) 및 징계 / 554




교원의 권리와 의무 / 557



XI 장학이론······································································ 561




장학의 개념과 관점 변화 / 561


장학의 유형 / 562


강의목차
No| 강의명| 무료보기| 자료| 강의시간
1강 07월 05일 : OT / p42~265 55분
2강 07월 05일 : p266~282 교육사회학 이론 44분
3강 07월 05일 : P282~300 갈등론적 관점 50분
4강 07월 05일 : P301~315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 45분
5강 07월 12일 : p318~327 평생교육 35분
6강 07월 12일 : p328~343 평생교육의 실제 45분
7강 07월 12일 : p128~136 교육심리상담평가 39분
8강 07월 12일 : p137~148 성격 및 사회성 발달 42분
9강 07월 12일 : p149~159 도덕성 발달 38분
10강 07월 19일 : p160~167 학습자의 이해 30분
11강 07월 19일 : p168~177 행동주의 학습이론 42분
12강 07월 19일 : p178~189 인지주의 학습이론 41분
13강 07월 19일 : p190~204 생활지도 및 상담 60분
14강 07월 26일 : p205~213 교육평가 - 평가의 의미 및 목적 40분
15강 07월 26일 : p213~223 정의적 특성 측정 40분
16강 07월 26일 : p223~232 좋은 측정도구 및 검사도구의 조건 43분
17강 07월 26일 : p232~238 문항제작 분석 및 해석 39분
18강 08월 09일 : p346~356 교육과정의 개념 40분
19강 08월 09일 : p356~383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69분
20강 08월 09일 : p386~397 교수학습이론 59분
21강 08월 16일 : p398~408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32분
22강 08월 16일 : p409~427 수업설계이론 62분
23강 08월 16일 : p18~31 교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 39분
24강 08월 16일 : p34~56 교육의 역사와 철학적 이해 44분
25강 08월 23일 : p56~74 조선전기의 교육 55분
26강 08월 23일 : p75~98 서양교육사 65분
27강 08월 23일 : p102~125 대교육철학 53분
28강 08월 30일: p430~443 교육행정의 개념 51분
29강 08월 30일: p444~457 학교조직론 43분
30강 08월 30일: p458~467 리더십 이론 38분
31강 09월 07일 : p468~478 동기이론 37분
32강 09월 07일 : p479~487 교육정책 과정 39분
33강 09월 07일 : p488~511 교육법의 체계와 내용 56분
34강 09월 07일 : p514~529 국가교육행정의 체계 41분
35강 09월 07일 : p529~565 교육재정제도 -종강- 68분
직장인반 수강 안내
  • 예) 40일 강좌 수강시
    - 수강 시간 : 평일 18~06시만 수강 / 주말, 공휴일 24시간 수강
    - 수강 기간 : 원래 수강 기간 X 1.4배수(40일 X 1.4 = 56일)
    - 수강 중지 : 3회. 3회의 합은 56일까지
    - 수강 연장 : 3회. 1일 연장 수강료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강의 종료일까지만 연장 가능)
    - 수강 환불 : 환불일수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수강 중지시 환불 불가)
    - 직장인반은 일반강의로 변경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