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유의사항
(필독) |
30% 할인 판매!(118,800원 → 83,200원) |
강좌소개 |
# 강의 일정 : 2/17(월) ~ 2/22(토), 총 6회, 월~토 강의 # 강의 교재 : 합격하는 PSAT 7급 언어논리(기본서) + 합격하는 PSAT 언어논리 워크북 |
✔이 책의 특징
본서는 철저하게 언어논리 고득점을 위해 기획된 결과물입니다.
사실 더 어려운 문제는 어떤 식으로든 기출문제의 분석을 통해서 깨닫게 된 것들이 곧 실전 현장에서 쉽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고안한 방법들은 지금 단계에서는 알게 된 지식에 불과할 뿐, 그러한 것들이 한 두 번의 확인만으로는 쉽게 체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본서는 바로 그러한 관점에서 기획된 교재입니다. 문제들과 내용들을 배치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고민하면서 집필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판
2022년, 7급 공채에 PSAT이 도입된 이후 두 번째 시험이 치러졌습니다. 두 번의 시험동안 시험의 운용과 관련한 외적인 면에서도, 시험 문제와 관련한 내적인 면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7급 공채에 걸맞은 형태로 PSAT이 완전하게 안착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이렇게 변화가 많은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뭐라 해도 기본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기본기가 튼튼하다면 출제경향의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점수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러한 관점에서 단순히 기출문제 풀이를 위한 책이 아니라 PSAT 기본기 함양을 위한 책이 꼭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기획하고 집필하였습니다.
언어논리는 전략과목입니다.
언어논리는 단순히 PSAT의 세 과목 중에 하나가 아닙니다. 이미 시험에 응시하였던 여러분의 선배나 동료들을 통해서 확인해보십시오. 반드시 고득점을 받아야 하는 영역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부담을 가지고 있는 상황판단과 자료해석 점수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언어논리 고득점은 충분히 매력적인 전략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득점의 획득이라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는 것에 문제가 있습니다. 시험을 열심히 준비하고 있는 경쟁자들조차 까다롭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맞혀야지만 고득점의 달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고득점의 달성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무작정 열심히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목적과 방향성 없는 기출문제 풀이가 여러분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요?
시험을 준비하시려는 분들과 상담을 하게 될 때면 저는 항상 그 분들에게 질문을 합니다. “어떻게 공부하실 계획입니까?” 그 질문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들려주는 답은 열심히 하겠다는 것에 크게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기출문제 중에 몇 년도에 해당하는 문제를 매일 풀고, 독해연습이나 논리 공부를 병행한다는 이야기가 가장 많았습니다. 물론 독해 연습 과정도 필요하고 기출문제를 분석하는 것도 필수적이지만 “무엇을 위해서”, 혹은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공부해야 하는지는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문제만 많이 푸는 방식에서 벗어나서 기출문제 하나하나를 출제경향의 분석, 자신의 취약점 진단, 해결 방안의 고안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매우 섬세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활용되지 못한 기출문제는 단순히 정⋅오답의 확인에 그칠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여기서 한 가지 점을 더 생각해야 합니다.
본서는 철저하게 언어논리 고득점을 위해 기획된 결과물입니다.
사실 더 어려운 문제는 어떤 식으로든 기출문제의 분석을 통해서 깨닫게 된 것들이 곧 실전 현장에서 쉽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고안한 방법들은 지금 단계에서는 알게 된 지식에 불과할 뿐, 그러한 것들이 한 두 번의 확인만으로는 쉽게 체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본서는 바로 그러한 관점에서 기획된 교재입니다. 문제들과 내용들을 배치함에 있어서도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고민하면서 집필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따라서 본서의 문제들 역시 빠르게 풀고 정답을 확인하는 목적으로만 활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한 문제, 한 문제를 풀면서 또한 앞서 알게 된 문제유형별 풀이과정이 적용되고 있는지, 정⋅오답을 판정하는 판단 기준에 문제는 없는지를 끊임없이 검토하고 조정하고 숙지하는 연습을 지속하셔야 합니다. 이와 같이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기출문제를 풀어가다 보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PSAT 언어논리 문제들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본서의 출간까지 많은 분들이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셨습니다. 윌비스 한림법학원의 송주호 대표님, 김지훈 원장님, 최인종 부원장님, 이지훈 대리님, 김용희 주임님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본서가 출간될 수 있도록 실무적인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주신 원성일 실장님, 권윤주 과장님, 박성화 대리님, 김시원 주임님께도 감사하다는 말씀 꼭 드리고 싶습니다. 오랫동안 PSAT 강의를 함께 해오고 있는 자료해석의 석치수 강사와 상황판단의 박준범 강사에게도 앞으로도 건강 잃지 말고 힘내자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제 어머니와 사랑하는 제 아내, 딸 서하, 아들 찬유 그리고 하늘나라에 계신 제 아버지에게도 무한한 사랑의 말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에게 합격의 영광이 함께 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저자 이나 우 씀
PART 01 PSAT 언어논리란 무엇인가?
Chapter 01 PSAT란? 4
Chapter 02 2022년 7급공채 PSAT 언어논리 출제경향 분석 5
Chapter 03 언어논리란? 7
Chapter 04 언어논리라는 과목의 중요성 – 언어논리는 전략과목이다! 10
Chapter 05 언어논리를 잘하는 방법은 감(感)? No! 12
Chapter 06 언어논리의 정답과 오답은 객관적 기준에 따라 정해진다. 24
Chapter 07 언어논리라는 과목명에 논리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의미하는것은? 26
Chapter 08 언어논리 공부에서 정말 중요한 요소는 바로 자신! 32
Chapter 09 언어논리 이렇게 준비하자! 38
Chapter 10 나만의 ‘스킬북’을 만들자!! 40
PART 02 진단(診斷)편
Chapter 01 진단(診斷) 제 1 과정 44
Chapter 02 진단(診斷) 제 2 과정 48
PART 03 오직 PSAT만을 위한 독해(讀解)
Chapter 01 시험을 위한 독해(讀解)란 무엇인가? 62
Chapter 02 독해 연습은 어떻게 시작할까? 72
Chapter 03 PSAT에 최적화된 독해연습법, 나우! 독해 연습법 79
PART 04 일치추론형의 관통(貫通)의 법칙
Chapter 01 관통의 법칙 I:정보의 연결 106
Chapter 02 관통의 법칙 II:정보 간의 관계 114
PART 05 글의 이해(理解)편
Chapter 01 일치추론형 = 일치부합형 + 추론형 129
Chapter 02 일반추론형 162
Chapter 03 이해추론 206
Chapter 04 핵심도출형 222
Chapter 05 빈칸채우기형 239
Chapter 06 글의 이해편 총정리 264
Chapter 07 글의 이해편 총정리 해설 282
PART 06 논리논증의 기본
Chapter 01 정언명제 298
Chapter 02 합성명제 314
Chapter 03 연역논증과 논증의 타당성 330
Chapter 04 필요충분조건 374
Chapter 05 반박과 오류 397
Chapter 06 귀납논증 403
PART 07 논리의 응용
Chapter 01 논리의 심화 428
Chapter 02 논리논증의 활용 542
PART 08 기타유형
Chapter 01 사례찾기형 660
Chapter 02 실무형 684
PART 09 2022년 7급 공채 언어논리 기출문제 및 해설
Chapter 01 문제편 722
Chapter 02 해설편 747
✔이 책의 특징
본 서는 실천적인 연습을 위한 기획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이 책을 보고 있는 여러분들은 이미 기본서를 읽어보면서 앞서 말씀드린 출제경향/자기 진단/방안의 고안이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진전을 보았을 것입니다. 문제는 그와 같은 방법으로 깨닫게 되었다는 것이 곧 실전 현장에서 적용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에 있습니다.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고안한 방법들은 지금 단계에서는 알게 된 지식에 불과할 뿐, 온전한 스킬로 체화되지는 못했기 때문입니다. 본 서는 바로 그러한 관점에서 기획된 교재입니다. 기본서를 통해서 알게 된 지식들을 체화하기 위한 과정으로 관련 기출문제를 선정하고 배치하였습니다.
제2판
최근 PSAT에서는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먼저 7급 공개경쟁채용에 PSAT이 도입되었습니다. 7급공채 PSAT의 경우, 2020년 11월에 모의평가가 진행되었으며, 2021년 7월에 1회 시험이 치러졌습니다. 제1회 시험은 모의평가보다는 좀 더 높은 난이도의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
5급공채 PSAT의 경우에는 사전에 7급공채에 PSAT이 도입될 것을 반영하여, 난이도의 조정이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언어논리의 경우, 5급공채에 PSAT이 도입된 이후로 가장 어려운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실제 시험의 결과들과 시험에 응시했던 많은 분들의 후평들만 보더라도 가장 어려운 과목이었다는 일반적인 평가가 거짓이 아님을 알 수 있었습니다.
공부하는 시간의 부족이 핵심적인 문제는 아닙니다.
실제 상담과정에서 만나본 여러분들은 언어논리 점수가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로 언어논리를 공부했던 시간의 ‘부족’을 일순위로 꼽았습니다. 다른 과목보다 열심히 하지 않았다는 점이 언어논리 점수가 낮은 이유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얼마나 많은 시간을 공부하는지도 분명 학업성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제가 생각하는 일차적인 이유는 아닙니다. 실제 언어논리를 혼자 공부하시는 분들 중 상당수는 여전히 언어논리라는 과목을 대입 수능의 언어영역(국어)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예전 수능 공부 시절처럼 열심히만 한다면, 그 때의 감각을 되살릴 수 있다면 또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언어논리는 분명 다른 시험입니다.
언어논리는 대학에서 공부를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언어논리는 공직자로서 실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하는 엄정한 시험입니다. 물론 수능의 언어영역(국어)과 관련성이 있는 문제들도 있지만, 그 문제들은 차지하는 비중도 적을 뿐만 아니라 당락에 영향을 줄 정도로 어려운 문제로 출제되지도 않습니다. 그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여러분이 지금 가지고 있는 시험에 대한 대비법으로는 언어논리를 준비하는 것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목적의식 없는 기출문제 풀이가 시험 대비에 있어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시험을 준비하시려는 분들과 상담을 하게 될 때면 저는 항상 그 분들에게 질문을 합니다. “어떻게 공부하실 계획입니까?” 그 질문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들려주는 답은 열심히 하겠다는 것에 크게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기출문제 중에 몇 년도에 해당하는 문제를 매일 풀고, 독해연습이나 논리 공부를 병행한다는 이야기가 가장 많았습니다. 하지만 하루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공부할 것인지를 설명하는 분들은 있었지만, 가장 중요한 ‘어떻게’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자신의 계획을 설명하시는 분은 많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문제만 많이 푸는 방식에서 벗어나서 기출문제 하나하나를 출제경향의 분석, 자신의 취약점 진단, 해결 방안의 고안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매우 섬세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활용되지 못한 기출문제는 단순히 정⋅오답의 확인에 그칠 뿐이기 때문입니다.
본 서는 실천적인 연습을 위한 기획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이 책을 보고 있는 여러분들은 이미 기본서를 읽어보면서 앞서 말씀드린 출제경향/자기 진단/방안의 고안이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진전을 보았을 것입니다. 문제는 그와 같은 방법으로 깨닫게 되었다는 것이 곧 실전 현장에서 적용가능하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에 있습니다.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고안한 방법들은 지금 단계에서는 알게 된 지식에 불과할 뿐, 온전한 스킬로 체화되지는 못했기 때문입니다. 본 서는 바로 그러한 관점에서 기획된 교재입니다. 기본서를 통해서 알게 된 지식들을 체화하기 위한 과정으로 관련 기출문제를 선정하고 배치하였습니다.
본 서는 체화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따라서 본 서의 문제들 역시 빠르게 풀고 정답을 확인하는 목적으로만 활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한 문제, 한 문제를 풀면서 또한 앞서 알게 된 문제유형별 풀이과정이 적용되고 있는지, 정오답을 판정하는 판단 기준에 문제는 없는지를 끊임없이 검토하고 조정하고 숙지하는 연습을 지속하셔야 합니다. 이와 같이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기출문제를 풀어가다 보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PSAT 언어논리 문제들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본 서의 출간까지 많은 분들이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셨습니다. 윌비스한림법학원 송주호 대표님, 김지훈 원장님, 최인종 부원장님, 원성일 실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강의 진행과 교재 제작에 있어 실무적인 면에서 큰 도움을 주신 박창구 차장님, 김용민 차장님, 권윤주 과장님, 이지훈 대리님, 이정민 대리님, 김시원 사원님께도 정말 감사드린다는 뜻을 전합니다. 오랫동안 PSAT 강의를 함께 해오고 있는 자료해석의 석치수 강사와 상황판단의 박준범 강사에게도 앞으로도 건강 잃지 말고 힘내자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를 위해서 변함없는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는 저희 가족들에게도 무한한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더불어서 이제는 더 이상 볼 수 없는 아버지이지만 앞에 계시다면 너무 고마웠고 편히 쉬시라는 말씀을 꼭 드리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의 분투와 건승을 기원합니다.
저자 이나우
Chapter01 최근 출제경향 분석과 본 서의 활용법2
Chapter02 언어논리의 이해6
Chapter03 관통의 법칙45
Chapter04 글의 이해편69
Chapter05 글의 이해편:워밍업 문제들108
Chapter06 논리논증편140
Chapter07 논리의 심화편211
Chapter08 글의 응용편264
Chapter09 2021년 5급공채 언어논리 가책형 기출문제 및 해설274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회 1강 | 02월 17일 : 명제와 논증 | WIDE HIGH LOW |
![]() |
91분 |
1회 2강 | 02월 17일 : 174번 문제해설 | 92분 | ||
2회 1강 | 02월 18일 : 176~177번 문제해설 p.506 | 70분 | ||
2회 2강 | 02월 18일 : 191번 문제해설 p.538 | 68분 | ||
2회 3강 | 02월 18일 : 200번 문제해설 p.556 | 84분 | ||
3회 1강 | 02월 19일 : 189번 문제해설 p.534 |
![]() |
74분 | |
3회 2강 | 02월 19일 : 215번 문제해설 p.588 | 59분 | ||
3회 3강 | 02월 19일 : 221번 문제해설 p.602 | 64분 | ||
4회 1강 | 02월 20일 : 169번 문제해설 | 62분 | ||
4회 2강 | 02월 20일 : 223번 문제해설 p.606 | 70분 | ||
4회 3강 | 02월 20일 : 232번 문제해설 p.624 | 78분 | ||
5회 1강 | 02월 21일 : 198번 문제해설 p.265 | 74분 | ||
5회 2강 | 02월 21일 : 243~244번 문제해설 p.646 | 67분 | ||
5회 3강 | 02월 21일 : 252번 문제해설 p.626 | 75분 | ||
6회 1강 | 02월 22일 : 1번 문제해설 p.1 |
![]() |
70분 | |
6회 2강 | 02월 22일 : 266번 문제해설 p.698 | 64분 | ||
6회 3강 | 02월 22일 : 275~ 276번 문제해설 p.716 | 71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