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
- 2020 윌비스 제로백 김헌 행정학 이론 - 본 과정은 공무원 수험준비를 누구나 비용없이 제대로 준비하고 시작할 수 있도록 기획된 이론 무료과정입니다. |
강좌특징 |
- 2020 윌비스 제로백 김헌 행정학 이론 - 강의일정 : 7~8월 진행, 50강 내외로 완강예정[스튜디오 촬영] - 강의교재 : 윌비스 제로백 행정학(윌비스 수험연구소) - 수강대상 : 행정학의 기본을 익히고자하는 초시생 또는 기존수험생 |
‣ 제1권
행정학의 기초이론, 정책론, 조직론으로 구성
‣ 제2권
인사행정론, 재무행정론, 행정환류론, 지방행정론으로 구성
각 편 도입부에 국가직과 지방직, 서울시를 비롯한 각 시험의 단원별 출제비중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기하였다.
여러분들이 강의를 들으면서 혹은 혼자 독학을 하는 경우에도 내용을 이해하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흐름 하에 본문내용을 정리하고 편집하였다.
본문에서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이론과 특정의 개념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과 사례를 통해 이해를 확실히 하고, 시험문제에 대한 응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매 단원마다 학습한 내용을 점검할 수 있는 기출문제를 다량 수록하여 복습과 함께 출제패턴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정부업무평가기본법, 공공기관운영에 관한 법률, 지방자치법, 국가공무원법, 국가재정법, 책임운영기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등 최근 개정된 내용들을 반영
1권
제1편 ‣‣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본질 2
제1절 행정의 의의 2
01 행정의 개념 2
02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3
03 행정학적 행정개념 3
04 행정의 특징 6
제2절 행정의 변수와 과정 7
01 행정의 변수 7
02 행정 과정 8
제3절 정치와 행정 10
01 의의 10
02 정치⋅행정 관계에 대한 이론의 변천 10
제4절 행정과 경영-공행정과 사행정 14
01 의의 14
02 현대적 의미에 있어서 행정과경영의 관계 16
제5절 행정수요와 행정(정부)의 역할 18
01 행정수요 18
02 행정(정부)의 역할 18
제6절 행정기능과 행정문화 20
01 행정의 기능 20
02 행정문화 21
단원확인문제 24
제2장 현대행정의 이해 26
제1절 근대입법국가와 시장실패 26
01 근대입법국가 26
02 시장실패 27
제2절 행정국가와 정부규제 31
01 행정국가의 의의 31
02 현대행정국가의 특징 31
03 정부규제 34
제3절 정부실패 43
01 의의 43
02 정부실패를 야기하는 정부산출물의 수요와공급측면의 특성에 따른 원인 43
03 정부실패의 유형 44
제4절 정부실패의 극복-작은 정부론 46
01 감축관리 46
02 정부기능의 재배분과 민영화 47
03 제3섹터(중간조직, 준정부조직)에 의한서비스공급 52
제5절 신행정국가 58
01 1980년대 행정환경 58
02 신행정국가 60
단원확인문제 62
제3장 행정학의 이론과 접근방법 68
제1절 행정학의 기원과 발달과정 68
01 관방학과 Stein행정학 68
02 미국의 행정학 69
제2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72
01 행정학의 과학성과 기술성 72
02 행정학의 전문직업적 성격 72
03 행정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73
04 행정학의 가치성과 사실성(가치중립성) 73
제3절 행정학의 접근방법과 주요이론 74
제1항 행정학 접근방법의 의의 74
01 접근방법의 의의 74
02 접근방법의 분류 74
제2항 행정학의 주요이론 75
01 과학적관리론과 인간관계론 75
02 행태론적 접근방법 79
03 생태론적 접근방법 82
04 체제론적 접근방법 84
05 비교행정론 87
06 발전행정론 88
07 후기행태론적 접근방법과 신행정론 89
08 현상학적 접근방법 92
09 비판론적 접근방법 95
10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96
11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103
제4절 행정학의 최신이론 109
01 신공공관리론 109
02 신공공서비스론(New Public Service) 114
03 뉴거버넌스론(신국정관리) 116
04 거버넌스 논의의 확대 122
05 포스트모더니즘 행정이론 125
단원확인문제 128
제4장 행정이념 134
제1절 행정이념의 의의 134
제2절 본질적 행정이념 135
01 공익 135
02 사회적 형평성 138
03 자유와 평등 139
제3절 수단적 행정이념 141
01 합법성 141
02 능률성 142
03 민주성 143
04 효과성 144
05 생산성(효율성) 145
06 합리성 146
07 가외성 148
08 신뢰성 149
09 투명성 151
단원확인문제 152
제2편 ‣‣ 정책론
제1장 정책학의 기초 158
제1절 정책학과 정책 158
01 의의 158
02 정책학의 특성 159
제2절 정책의 의의와 유형 162
01 정책의 의의 162
02 정책의 유형 163
제3절 정책환경 169
01 의의 169
02 정책결정요인론(정책산출연구) 169
제4절 정책과정 171
Ⅰ.의의 171
Ⅱ.정책과정의 단계 171
Ⅲ.정책과정의 참여자 172
Ⅳ.정책네트워크(정책망) 모형 173
단원확인문제 178
제2장 정책의제설정론 182
제1절 정책의제설정론의 의의와 유형 182
Ⅰ.의의와 과정 182
Ⅱ.정책의제설정의 유형 183
제2절 정책의제설정과정의 주도자와 영향을미치는 요인 187
Ⅰ.엘리트론과 다원론 187
Ⅱ.기타 권력모형 191
Ⅲ.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3
단원확인문제 196
제3장 정책분석과 정책결정론 200
제1절 정책결정의 기초 200
Ⅰ.의의 200
Ⅱ.합리적⋅분석적 정책결정과정 201
Ⅲ.합리적 정책분석과 정책결정의 제약요인 214
제2절 정책분석 216
Ⅰ.정책분석의 의의 216
Ⅱ.관리과학 및 체제분석 217
제3절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219
Ⅰ.정책결정이론모형의 분류 219
Ⅱ.정책결정의 이론모형 219
단원확인문제 234
제4장 정책집행론 242
제1절 정책집행의 기초 242
Ⅰ.의의 및 특성 242
Ⅱ.정책집행연구의 전개 243
Ⅱ.정책집행의 단계 247
제2절 정책집행의 유형과 정책집행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248
Ⅰ.정책집행의 유형 248
Ⅱ.정책집행의 순응과 불응 252
Ⅱ.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3
단원확인문제 256
제5장 정책평가와 정책변동론 260
제1절 정책평가 260
Ⅰ.의의 260
Ⅱ.정책평가의 유형 261
Ⅱ.정책평가의 절차와 기준 262
Ⅳ.인과모형의 설정 264
Ⅴ.정책평가를 위한 실험 267
Ⅵ.우리나라의 평가제도-정부업무평가기본법 268
제2절 정책변동과 환류 272
Ⅰ.정책변동의 의의와 유형 272
Ⅱ.정책변동의 원인과 모형 273
단원확인문제 274
제6장 기획론 280
Ⅰ.의의 280
Ⅱ.기획이론의 발전 281
Ⅱ.기획의 유형 281
Ⅳ.기획의 과정과 정향 283
Ⅴ.중앙기획기구 285
Ⅵ.기획의 원칙과 제약요인 286
단원확인문제 288
제3편 ‣‣ 조직론
제1장 조직의 기초이론 292
제1절 조직의 의의와 유형 292
Ⅰ.조직의 의의 292
Ⅱ.조직의 유형 292
제2절 조직이론의 전개 298
Ⅰ.Waldo의 조직이론의 변천 298
Ⅱ.Scott의 조직이론 체계 300
제3절 조직과 목표 303
Ⅰ.조직의 목표 303
Ⅱ.목표의 변동 304
단원확인문제 306
제2장 조직구조론 310
제1절 조직의 구조 310
Ⅰ.의의 310
Ⅱ.구성요소 310
Ⅱ.조직구조의 변수 312
제2절 고전적 조직구조의 원리(조직의 원리) 317
Ⅰ.의의 317
Ⅱ.주요 원리 317
Ⅱ.조직의 원리의 대한 평가 322
제3절 관료제와 탈관료제 323
Ⅰ.관료제 323
Ⅱ.탈(후기)관료제 모형 328
제4절 지식조직모형 335
Ⅰ.지식사회의 의의 335
Ⅱ.지식정부조직의 주요 모형 335
제5절 우리나라의 행정조직 342
Ⅰ.우리나라의 정부조직 342
Ⅱ.중앙정부조직 343
제6절 기타의 조직형태 345
Ⅰ.계선기관과 막료기관 345
Ⅱ.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348
Ⅱ.위원회 350
Ⅳ.공기업 353
Ⅴ.책임운영기관 360
단원확인문제 364
제3장 조직과 인간 372
제1절 조직과 개인 372
Ⅰ.조직과 개인의 관계 372
Ⅱ.구성원의 성격유형 373
Ⅱ.인간관과 관리전략 374
제2절 동기부여이론 378
Ⅰ.동기와 동기부여이론 378
Ⅱ.내용(욕구)이론 379
Ⅱ.과정이론 386
단원확인문제 392
제4장 조직과 환경 396
제1절 조직과 환경의 관계 396
Ⅰ.의의 396
Ⅱ.조직과 환경의 관계 396
제2절 조직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 398
Ⅰ.의의 398
Ⅱ.거시조직이론의 분류 398
단원확인문제 404
제5장 조직관리론 406
제1절 조직관리의 변화 406
제2절 리더십(Leadership) 408
Ⅰ.의의 408
Ⅱ.전통적 리더십이론 409
Ⅱ.현대적 리더십이론 414
제3절 의사전달 417
Ⅰ.의의 417
Ⅱ.유형 418
Ⅱ.의사전달과정과 네트워크 419
Ⅳ.의사전달의 원칙 및저해요인과 촉진방안 420
Ⅴ.행정 PR(공공관계) 421
제4절 행정정보공개제도 423
Ⅰ.의의 423
Ⅱ.연혁 및 주요내용 423
Ⅱ.효용 및 문제점 426
제5절 갈등관리 428
Ⅰ.갈등의 의의 428
Ⅱ.갈등의 유형 429
Ⅱ.갈등의 원인과 해결방안 430
제6절 조직관리와 혁신기법 433
Ⅰ.조직혁신 433
Ⅱ.조직발전(OD) 434
Ⅱ.목표관리(MBO) 438
Ⅳ.총체적 품질관리(TQM) 440
Ⅴ.기타 관리와 혁신기법 443
2권
제4편 ‣‣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기초 454
제1절 인사행정의 본질 454
Ⅰ.의의 454
Ⅱ.현대 인사행정의 특징 455
제2절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457
Ⅰ.엽관주의 457
Ⅱ.실적주의 460
Ⅲ.적극적 인사행정(실적제 + 엽관제) 463
Ⅳ.대표관료제 464
Ⅴ.직업 공무원제 469
제3절 중앙인사행정기관 473
Ⅰ.의의 473
Ⅱ.조직 형태 474
Ⅲ.각국의 중앙인사기관 475
단원확인문제 478
제2장 공직의 분류 482
제1절 공직의 분류체계 482
Ⅰ.의의 482
Ⅱ.경력직과 특수경력직 482
Ⅲ.폐쇄형과 개방형 486
Ⅳ.계급제와 직위분류제 488
제2절 우리나라의 인사제도의 개혁-고위공무원단 495
Ⅰ.고위공무원단제도(SES: Senior Executive Service) 495
Ⅱ.기타 제도 499
단원확인문제 502
제3장 인적자원관리 508
제1절 인력계획 508
Ⅰ.의의 508
Ⅱ.필요성과 과정 508
제2절 모집⋅시험⋅임용 509
Ⅰ.모집 509
Ⅱ.시험 511
Ⅲ.임용 513
제3절 능력발전 517
Ⅰ.능력발전의 방안 517
Ⅱ.교육훈련 517
Ⅲ.근무성적평정 523
Ⅳ.승진과 배치전환 535
제4절 공무원의 사기관리 540
Ⅰ.사기 540
Ⅱ.보수 542
Ⅲ.공무원연금제도 548
Ⅳ.공무원단체 550
Ⅴ.고충처리제도와 제안제도 554
단원확인문제 556
제4장 공무원의 근무규율 562
제1절 공직윤리 562
Ⅰ.의의 562
Ⅱ.우리나라 공직윤리의 내용 563
제2절 공직부패 567
Ⅰ.의의 567
Ⅱ.유형 568
Ⅲ.원인과 접근방법 569
Ⅳ.부패의 기능과 부패방지에 대한 대책 570
제3절 정치적 중립 573
Ⅰ.의의 573
Ⅱ.필요성과 한계 573
Ⅲ.각국의 정치적 중립 574
제4절 공무원의 신분보장과 징계 576
Ⅰ.신분보장 576
Ⅱ.징계와 소청심사 576
Ⅲ.공무원의 퇴직 578
Ⅳ.기타 공무원 신분제한 제도 579
Ⅴ.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약칭: 부정청탁금지법) 580
제5편 ‣‣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 594
제1절 재무행정과 예산 594
Ⅰ.재무행정의 의의 594
Ⅱ.예산의 의의 595
Ⅲ.예산의 기능 595
Ⅳ.예산의 원칙 599
제2절 예산관계법률과 예산기구 602
Ⅰ.예산의 법적기초 602
Ⅱ.재무행정조직 607
Ⅲ.기획과 예산 608
제3절 예산의 종류와 예산의 분류 611
Ⅰ.예산의 종류 611
Ⅱ.예산의 분류 620
단원확인문제 624
제2장 예산과정론 630
제1절 예산과정의 기초 630
Ⅰ.예산주기 630
Ⅱ.회계연도 630
제2절 예산과정 632
Ⅰ.예산의 편성 632
Ⅱ.예산심의 642
Ⅲ.예산의 집행 646
Ⅳ.결산 656
Ⅴ.회계검사 658
단원확인문제 664
제3장 예산제도 670
제1절 예산결정이론 670
Ⅰ.의의 670
Ⅱ.합리주의 예산과 점증주의 예산 670
Ⅲ.자원의 희소성과 예산결정이론 672
제2절 예산제도의 변천 676
Ⅰ.예산제도의 의의 676
Ⅱ.품목별예산제도(LIBS) 677
Ⅲ.성과주의예산제도(PBS) 678
Ⅳ.계획예산제도(PPBS) 681
Ⅴ.영기준예산제도(ZBB) 683
Ⅵ.최근의 예산제도 687
단원확인문제 692
제6편 ‣‣ 행정환류론
제1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698
제1절 행정책임 698
Ⅰ.의의 698
Ⅱ.기준과 특징 699
Ⅲ.유형 699
제2절 행정통제 703
Ⅰ.의의 703
Ⅱ.원칙과 과정 703
Ⅲ.유형 705
단원확인문제 712
제2장 행정개혁론 716
제1절 행정개혁 716
Ⅰ.의의 716
Ⅱ.접근방법 717
Ⅲ.절차 720
Ⅳ.저항 및 극복전략 721
Ⅴ.행정개혁의 실패와 성공적 행정개혁을위한 요건 723
제2절 선진국의 행정개혁 724
Ⅰ.의의 724
Ⅱ.OECD국가들의 정부혁신 726
Ⅲ.우리나라의 행정개혁 728
Ⅳ.우리나라 정부개혁의 주요내용 731
단원확인문제 736
제3장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738
제1절 정보화 사회와 행정 738
Ⅰ.정보화 사회 738
Ⅱ.정보화가 행정에 미친 영향 739
Ⅲ.행정정보체계 742
제2절 전자정부와 지식관리 744
Ⅰ.전자정부 744
Ⅱ.지식관리와 지식정부 748
단원확인문제 752
제7편 ‣‣ 지방행정론
제1장 지방행정과 지방자치 758
제1절 지방행정과 지방분권 758
Ⅰ.지방행정의 의의 758
Ⅱ.중앙집권과 지방분권 759
Ⅲ.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761
제2절 지방자치 764
Ⅰ.의의 764
Ⅱ.필요성과 한계 764
Ⅲ.유형 765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과 구성요건 767
Ⅰ.지방자치단체의 조직 767
Ⅱ.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771
제4절 우리나라의 주민참여제도 775
Ⅰ.의의 775
Ⅱ.유형 775
단원확인문제 782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기관구성과 사무 788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788
Ⅰ.기관구성의 형태 788
Ⅱ.지방의회(의결기관) 789
Ⅲ.집행기관 792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796
Ⅰ.의의 796
Ⅱ.종류 796
Ⅲ.사무배분 799
제3절 교육자치와 자치경찰제도 802
Ⅰ.교육자치 802
Ⅱ.자치경찰제도 803
단원확인문제 804
제3장 지방행정의 관리 808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808
Ⅰ.의의 808
Ⅱ.자주재원 810
Ⅲ.의존재원(지방재정조정제도) 812
Ⅳ.지방채 816
Ⅴ.지방재정 평가와 지방공기업 819
제2절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와의 관계 821
Ⅰ.정부 간 관계론 821
Ⅱ.중앙통제 823
Ⅲ.정부 간 갈등⋅분쟁 및 조정 825
Ⅳ.광역행정 827
Ⅴ.특별지방행정기관(일선기관) 832
Ⅵ.도시행정 833
단원확인문제 836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강 | 오리엔테이션 |
![]() |
16분 | |
2강 | 09월 16일 : p1 행정학의 기초이론 | 42분 | ||
3강 | 09월 16일 : p3 행정학적 행정개념 | 41분 | ||
4강 | 09월 16일 : p7 행정의 변수와 과정 | 17분 | ||
5강 | 09월 21일 : p26 근대입법국가와 시장실패 | 43분 | ||
6강 | 09월 21일 : p31 행정국가와 정부규제 | 46분 | ||
7강 | 09월 21일 : p43 정부실패 | 38분 | ||
8강 | 09월 21일 : p46 정부실패의 극복 | 38분 | ||
9강 | 09월 21일 : p52 제3섹터 | 33분 | ||
10강 | 09월 23일 : p68 행정학의 이론과 접근방법 | 40분 | ||
11강 | 09월 23일 : p79 행태론적 접근방법 | 45분 | ||
12강 | 09월 23일 : p82 생태론적 접근방법 | 42분 | ||
13강 | 09월 23일 : p96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38분 | ||
14강 | 09월 23일 : p103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43분 | ||
15강 | 09월 28일 : p109 행정학의 최신이론 | 41분 | ||
16강 | 09월 28일 : p116 뉴거버넌스 | 44분 | ||
17강 | 09월 28일 : p128 단원확인문제 | 34분 | ||
18강 | 09월 28일 : p134 행정이념의 의의 | 45분 | ||
19강 | 09월 28일 : p148 가외성 | 36분 | ||
20강 | 07월 22일 : p158 정책학의 기초 | 23분 | ||
21강 | 07월 29일 : p163 정책유형 | 37분 | ||
22강 | 07월 29일 : p171 정책과정 | 44분 | ||
23강 | 07월 29일 : p187 정책의제 설정과정의 주도자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3분 | ||
24강 | 07월 29일 : p200 정책분석과 정책결정 | 59분 | ||
25강 | 07월 29일 : 예측결과으 비교 평가 | 40분 | ||
26강 | 08월 03일 : p219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57분 | ||
27강 | 08월 03일 : p230 Alison의 모형 | 27분 | ||
28강 | 08월 05일 : p242 정책집행론 | 47분 | ||
29강 | 08월 05일 : p260 정책평가와 정책변동론 | 51분 | ||
30강 | 08월 05일 : p268 우리나라의 평가제도 | 21분 | ||
31강 | 08월 15일 : p292 조직의 기초이론 | 57분 | ||
32강 | 08월 15일 : p298 조직이론의 전개 | 36분 | ||
33강 | 08월 17일 : p317 고전적 조직구조의 원리 | 55분 | ||
34강 | 08월 17일 : p335 지식조직모형 | 47분 | ||
35강 | 08월 17일 : p350 위원회 | 45분 | ||
36강 | 08월 19일 : p372 조직과 인간 | 63분 | ||
37강 | 08월 19일 : p396 조직과 환경 | 51분 | ||
38강 | 08월 19일 : p406 조직관리론 | 50분 | ||
39강 | 08월 19일 : p428 갈등관리 | 52분 | ||
40강 | 08월 24일 : p454 인사행정의 기초 | 50분 | ||
41강 | 08월 24일 : p469 직업 공무원제 | 32분 | ||
42강 | 08월 24일 : p482 공직의 분류 | 46분 | ||
43강 | 08월 24일 : p495 고위공무원단 제도 | 45분 | ||
44강 | 08월 26일 : p508 인적자원관리 | 35분 | ||
45강 | 08월 26일 : p523 근무성적평정 | 40분 | ||
46강 | 08월 26일 : p535 승진과 배치전환 | 37분 | ||
47강 | 08월 26일 : p550 공무원단체 | 24분 | ||
48강 | 08월 31일 : p562 공무원의 근무규율 | 36분 | ||
49강 | 08월 31일 : p576 공무원의 신분보장과 징계 | 41분 | ||
50강 | 08월 31일 : p594 재무행정론 | 38분 | ||
51강 | 08월 31일 : p602 예산관계법률과 예산기구 | 42분 | ||
52강 | 08월 31일 : p611 예산의 종류와 예산의 분류 | 45분 | ||
53강 | 08월 31일 : p620 예산의 분류 | 21분 | ||
54강 | 09월 02일 : p630 예산과정론 | 48분 | ||
55강 | 09월 02일 : p642 예산심의 | 42분 | ||
56강 | 09월 02일 : p656 결산 | 47분 | ||
57강 | 09월 02일 : p670 예산제도 | 56분 | ||
58강 | 09월 08일 : p758 지방행정과 지방자치 | 46분 | ||
59강 | 09월 08일 : p767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과 구성요건 | 39분 | ||
60강 | 09월 08일 : p775 우리나라의 주민참여제도 | 40분 | ||
61강 | 09월 08일 : p788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과 사무 | 44분 | ||
62강 | 09월 08일 : p808 지방행정의 관리 | 39분 | ||
63강 | 09월 09일 : p821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와의 관계 | 36분 | ||
64강 | 09월 09일 : p836 단원확인문제 | 30분 | ||
65강 | 09월 09일 : p698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 45분 | ||
66강 | 09월 09일 : p716 행정개혁론 | 32분 | ||
67강 | 09월 09일 : p738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 47분 | ||
68강 | 09월 11일 : 행정학 기출문제 해설 문제 1~13번 | 42분 | ||
69강 | 09월 11일 : 행정학 기출문제 해설 문제 14~26번 | 47분 | ||
70강 | 09월 11일 : 행정학 기출문제 해설 문제 27~40번 (종강) | 39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