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김
>

공무원

법원직
Ai 강좌만
Home >동영상수강신청 >단과강의
임진석
교수
2순환 / 한국사
2024 대비 법원직 임진석 한국사 2순환
강의촬영(실강) : 2023년 10월
강의수 : 52강
수강기간 : 120일
무제한 완강
강좌
강좌정보 보기 ▼
2024 대비 법원직 임진석 한국사 2순환
주교재 임진석 법원직 한국사(제6판) 32,400원 (↓10%)
총 주문금액
강좌 0
교재 0
0
강좌정보
강좌소개

# 일정 : 10/20(금) ~  1/12(금)

 

# 회차 : 13회

 

# 강의목적

임진석 한국사 2순환은 세부적인 ‘내용 숙지’에 주력하는 시기입니다. 1순환 때 정립된 ‘기초와 틀’을 바탕으로 한국사의 살을 붙여 실전 역량을 배양합니다. 

2순환에는 내용을 완성할 ‘암기’ 사항들이 집중됩니다. 세부 정책과 제도, 각종 인물들의 구체적 활약 및 저서, 사상 등을 다루게 될 것입니다. 

아울러 3순환에 임하기 전에 이를 뒷받침할 한국사 단권(單券)화 작업을 시작하시는 것을 도와드립니다.

 

# 세부내용(진행방식)

• 정치사 : 기존 1순환에서 다루었던 내용은 간략히 다루면서 주로 “사료” 학습으로 대체합니다. 사료를 보는 눈을 기르는 연습을 하며 주요 내용을 리뷰하게 됩니다. 그리고 세부 정치 제도를 심도있게 다루게 됩니다. 

• 경제, 사회, 문화사 : 1순환의 학습은 2순환의 경제, 사회사를 심도있게 파악하기 위한 트레이닝이었습니다. 또한 2순환의 문화사는 각종 사상 및 인물의 심화학습입니다. 또한 주요 유적지와 유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 근현대사 : 1순환 때 미진했던 근현대사(특히 현대사)의 비중이 대폭 늘어납니다. 근현대사의 학습을 2순환 때 집중하시어 3순환까지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한국사 암기 특화 프로젝트 - 

• 암기장 note : 한국사의 암기 사항들을 총 망라하여 자료로 제공해드립니다. 

• 암기 tip : 선별된 두문자 한국사의 암기 tip들을 소개하여 도움을 드립니다

 

# 교재 및 자료

• 필수교재 : 임진석 법원직 한국사 기본서 / 시크릿 노트 「 윌비스, 2024 대비 」 

• 유인물 : 2순환 복습 자료, 암기장 노트 등 제공 

교재정보
임진석 법원직 한국사(제6판)
  • 분야 : 법원직 |
  • 저자 : 임진석 |
  • 출판사 : (주)윌비스 |
  • 판형/쪽수 : 210*270 / 490
  • 출판일 : 2023-08-02 |
  • 교재비 : 32,400원 (↓10%) [판매중]

✔ 이 책의 특징

1 합격을 위해 필요한 기본서의 회독 수는 다다익선(多多益善)입니다. 문제 풀이 강의를 접하기 이전에 수험생 여러분은 최소 3회독을 하시길 권합니다.

2 본문에 핵심적이고 흐름 파악을 위해 주목해야 할 문구와 문장은 음영으로 표시하였습니다.

3 “○×확인 지문”은 본문의 내용이 기출에서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확인해보는 작업입니다. “CASE 기출 문제”는 실전 문제를 통해 본문의 내용이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관련 문제를 완전히 정복해야 한다는 부담감은 잠시 내려두고, 실전감을 맛보는 선행 작업의 시간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4 “관련 사료”는 본문에 서술된 내용을 출제된, 또는 출제 가능한 사료와 매칭하는 용도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5 부록인 “시크릿 노트”는 기본서의 이해와 정리를 돕기 위한 강의용 ‘보조’ 교재입니다. 따라서 시크릿 노트는 기본서를 정독하면서 정리하는 보조 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제6판

2024년 대비 「임진석 법원직 한국사」6판은 기존 5판과 비교하여 다음의 변화가 있습니다.

 1. 기본서 본문의 관련 사료 항목을 교체 또는 추가하였습니다.

 2. 기본서 본문 날개의 level-up 항목을 일부 추가하였습니다.

 3. 기본서와 시크릿 노트의 일부 주제 추가 및 중요 표시(밑줄, 방점)의 교정이 있습니다.

 4. 기타 최신 자료 보강, 일부 내용 오류 및 오탈자와 어색한 문장 수정 등의 업데이트가 있습니다.


20대의 대학생 임진석이 늦은 시간에 귀가했던 어느 겨울날이었습니다. 허름한 옥탑방 문 앞에 도착해서야 휴대폰을 포함한 모든 소지품을 분실한 사실을 알아챘습니다. 졸지에 한겨울의 노숙자로 전락할 위기. 다급한 마음에 근처 쓰레기 더미를 뒤져 철사를 찾아냈습니다. 그리고 새벽 내내 열쇠 구멍에 넣고 흔들어 대면서 문이 열리기를 간절히 바랬죠. 하늘이 도왔는지 기적적으로 문은 열렸고 해가 뜨고 나서야 방에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 상처 투성이의 손과 부서진 문고리, 그리고 고통스런 독감을 얻은 채로 말입니다.



시중에 한국사 교재와 참고서는 차고 넘쳐납니다. 최근의 수험생들은 한국사 학습을 모 강사의 노트 요약본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기본서 없이 수험을 마무리하곤 합니다. 물론 요약서 만으로도 합격할 수는 있습니다. 철사로도 문을 열게 된 것처럼 말이죠. 다만 기초가 없는 요약서 위주의 학습은 시행착오를 일으키고 필요 없는 시간과 비용을 감수하게 합니다. 상처와 독감을 얻게 된 것처럼 말이죠. 그렇다고 1000페이지에 육박하는 공무원 타 직렬의 한국사 기본서를 활용하는 건 수험의 부담이 필요 이상으로 가중되는 비효율을 초래합니다.



법원직 한국사는 최소한의 시간 투자로 고득점을 얻을 수 있는지의 싸움입니다. 수험의 비효율은 결국 한국사와 다른 과목의 점수를 갉아먹는 자살행위입니다. 법원직 수험생들은 너무나 생소한 교양 외의 5개의 법 과목에 투자할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또한 법원직 한국사는 검찰직 또는 일반행정직 한국사와 출제 패턴이 다르면서도 난이도는 낮은 편입니다. 디테일한 공무원 시험 스타일의 세부 심화 내용을 일부 다루면서도 기출 문제의 패턴은 수능 및 

한국사능력검정 시험 스타일을 지향합니다. 몇몇의 수험생은 말합니다. 타 직렬 한국사 강의 및 교재로 법원직이 커버된다구요. 하지만 수험생들은 이를 선별하는 수고로움을 감수하며 공부할 시간이 없습니다. 그런 선별의 시간은 강사에게 맡기세요.



우리는 독감에 밤을 새면서 철사로 문을 여는 것이 아니라, 딱 알맞은 열쇠로 빠르고 안전하게 문을 열어야 합니다. 즉, 합격이 아닌 최단 기간 합격이 우리의 목표인 것입니다.



이 같은 사실이 바로 법원직만의 한국사 강의와 기본서, 요약서가 존재해야 하는 명확한 이유입니다.



따라서 본 교재(기본서, 시크릿 노트)는 최적의 법원직 한국사 교재를 추구하는 것을 기본으로 요약 위주의 참고서를 지양하며, 비교적 compact한 기본서를 지향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문장을 읽고 흐름 파악이 가능한 서술을 추구하였습니다.


사실 주변에 보면 수험 기간이 쌓였지만 전반적인 한국사의 흐름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서술 지문에 취약한 수험생들이 있습니다. 왜 일까요? 이는 맹목적 키워드 위주의 학습 패턴으로 인해 사료와 문장 서술형 한국사 기출의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임진석 법원직 한국사」 ‘기본서’와 ‘시크릿 노트’의 최종 지향점은 한 권으로 시험장까지 들고 가는 단권(單券)화 수험서입니다. [① 이론의 단권화 – 기본서, ② 암기의 단권화 – 시크릿 노트, ③ 문제의 단권화 – 기출집(集)] 으로 구성된 한국사 학습의 커리큘럼을 그대로 따라오시면 합격도 따라올 것입니다. 이를 위해 본 교재를 다음과 같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

합격을 위해 필요한 기본서의 회독 수는 다다익선(多多益善)입니다. 문제 풀이 강의를 접하기 이전에 수험생 여러분은 최소 3회독을 하시길 권합니다. 회독을 하며 이해가 되지 않거나 완벽한 암기가 이뤄지지 않는 것들은 체크하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완벽한 1회독보다는 불완전한 다(多)회독이 수험에 좀 더 바람직합니다.



2

본문에 핵심적이고 흐름 파악을 위해 주목해야 할 문구와 문장은 음영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맥락과 기초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그 외의 서술을 연계해서 좌우 공란에 본인만의 메모를 첨부하세요. 핵심 키워드는 글자 상단에 점을 찍어 학습 시 잔상이 남도록 하였습니다. 수험생 본인 만의 방식으로 체크하여 문장 서술과 키워드가 자연스럽게 기억되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3

“○×확인 지문”은 본문의 내용이 기출에서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확인해보는 작업입니다. 실제 기출은 맥락이 없는 문장만 주어지기에 수험생은 키워드가 아닌 문장에 친숙해져야 합니다. “CASE 기출 문제”는 실전 문제를 통해 본문의 내용이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1회독 과정에서는 관련 문제를 완전히 정복해야 한다는 부담감은 잠시 내려두고, 실전감을 맛보는 선행 작업의 시간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4

“관련 사료”는 본문에 서술된 내용을 출제된, 또는 출제 가능한 사료와 매칭하는 용도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법원직 한국사는 여타 공무원 기출에 비해 사료의 비중이 높습니다. 사료는 외우는 작업이 아닌 숨은 그림 찾기이며, 이를 위해 사료를 보는 눈을 키워야 합니다. 사료 학습은 실제 출제될 기출 사료에서 ‘키워드’를 찾아낼 수 있는가에 대한 전투력을 높이는 연습입니다.



5

부록인 “시크릿 노트”는 기본서의 이해와 정리를 돕기 위한 교재입니다. 초심자는 처음부터 절대로 키워드 위주의 요약서에 의존해서는 안됩니다. 먼저 기본서의 “문장”을 소화하시고, 요약과 정리를 위한 “키워드”에 친숙해지는 선후 관계의 학습을 지키시길 바랍니다. 따라서 “시크릿 노트”는 우선 기본서 보조 자료로 활용하시고, 이후 무한 반복용 단권화 자료로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원고를 쓰는 작업은 고통스럽지만 매우 보람되고 짜릿한 시간입니다. 그것은 수험생 여러분의 학습 시간 단축과 고득점으로 향하는 의미있는 과정이자 결과물이 되기 때문입니다.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수험생 여러분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합니다. 임진석 한국사는 법원직 공무원 합격을 열망하는 수험생 분들의 강력한 무기가 되어드리겠습니다.



강사 생활의 든든한 나무가 되어주시는 김지훈 원장님, 김동진 교수님, 박태우 대표님 감사합니다. 또한 더 높은 곳으로 향하는 길로 인도해주시는 원성일 실장님과 진윤환 과장님, 백지훈 대리님께도 감사함을 표합니다. 감사함은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이라는 결과로 말하겠습니다.



‘순수한 진심과 치열한 열정은 배반하지 않는다.’ 인생의 모토로 삼는 문장입니다.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고 싶은 간절한 진심과 누구에게도 부끄럽지 않은 열정이 함께했던 지난 1년이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저에게도 행복함이 허락되기를 기도합니다. 행복함을 허락하는 당신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 



2023년 07월

임 진 석


 

 

 

 


Chapter 1 역사의 의미와 한국사 2

제1절 역사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2

제2절 역사학과 사료 비판 2

제3절 한국사와 세계사 3

Chapter 2 선사 시대와 민족의 형성 4

제1절 선사 시대와 민족의 형성 4

제2절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 5

Chapter 3  고조선과 초기 국가 시대 9

제1절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형성 9

제2절 고조선과 초기 국가의 성립 13





Chapter 1 고대의 정치:삼국 시대 26

제1절 고대 국가의 성립 26

제2절 삼국의 발전과 통치 체제 31

제3절 삼국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39

제4절 삼국의 통치 체제 43

 


Chapter 2 고대의 정치:남북국 시대 45

제1절 신라 중대 45

제2절 신라 하대 49

제3절 발해 52

제4절 남북국의 통치 체제 55

Chapter 3 고대의 경제 58

제1절 수취 제도 58

제2절 토지 제도 60

제3절 경제 생활 61

Chapter 4 고대의 사회 66

제1절 신분 제도 66

제2절 삼국 시대의 사회 모습 67

제3절 남북국 시대의 사회 모습 72

Chapter 5 고대의 문화 74

제1절 고대 문화의 성격 74

제2절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 편찬 75

제3절 불교와 그 외 사상의 발달 78

제4절 고분과 건축의 발달 84

제5절 과학기술과 예술의 발달 90

제6절 일본으로의 문화 전파 92




Chapter 1 중세의 정치 98

제1절 중세 사회의 성립 98

제2절 통치 체제의 정비 106

제3절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 정권 111

제4절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117

제5절 대외 관계의 변화 123

Chapter 2 중세의 경제 131

제1절 수취 제도와 재정 운영 131

제2절 토지 제도 132

제3절 경제 정책 136

제4절 경제 생활 138

Chapter 3 중세의 사회 142

제1절 고려의 신분 제도 142

제2절 백성들의 생활 모습 146

제3절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149

Chapter 4 중세의 문화 152

제1절 유학과 성리학의 수용 152

제2절 역사서 155

제3절 불교와 기타 사상 158

제4절 건축과 공예 164

제5절 과학 기술 168

제6절 문학과 예술의 발달 171


Chapter 1 근세의 정치 176

제1절 근세 사회의 성립 176

제2절 통치 체제의 정비 183

제3절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191

제4절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196

제5절 왜란과 호란의 극복 198

Chapter 2 근세의 경제 208

제1절 경제 정책 208

제2절 수취 제도와 재정 운영 209

제3절 토지 제도 214

제4절 경제 활동 216

Chapter 3 근세의 사회 219

제1절 조선의 신분 제도 219

제2절 사회 정책과 법률 제도 222

제3절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224

Chapter 4 근세의 문화 228

제1절 민족 문화의 융성 228

제2절 성리학의 발달 234

제3절 불교와 민간 신앙 239

제4절 과학 기술의 발달 241

제5절 건축과 공예 244

제6절 문학과 예술 247




Chapter 1 근대 태동기의 정치 254

제1절 근대 태동기와 통치 체제의 변화 254

제2절 붕당 정치의 변질과 탕평 정치  257

제3절 19세기 정치 질서의 변화 263

제4절 조선 후기 대외 관계 265

Chapter 2 근대 태동기의 경제 268

제1절 수취 체제의 개편 268

제2절 농업 경제의 변화, 발전 273

제3절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276

제4절 상업과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278

Chapter 3 근대 태동기의 사회 283

제1절 신분제의 변동 283

제2절 향촌 사회 변화와 가족 제도 287

제3절 사회 변혁의 움직임 289

Chapter 4 근대 태동기의 문화 295

제1절 성리학의 변화 295

제2절 실학과 국학의 발달 297

제3절 과학 기술의 발달 306

제4절 조선 후기 문화의 새 경향 309

제5절 건축과 공예 314





Chapter 1 외세 침입과 개항 318

제1절 서구 열강의 침입과 대응 318

제2절 개화 정책 추진과 갈등 322

제3절 개항 이후의 갈등 329

Chapter 2 근대 국가 수립 운동 336

제1절 근대 개혁 운동의 전개 336

제2절 근대 국가 수립 노력 347

제3절 일제에 국권 피탈과 저항 353

Chapter 3 근대 시기의 경제, 사회 변화 363

제1절 열강의 경제 침략 363

제2절 경제적 저항 365

제3절 근대 시기의 사회 변화 369

Chapter 4 근대 시기의 문화 372

제1절 근대 문물의 수용과 발전 372

제2절 국학 연구와 문화 발전 378




Chapter 1 일제의 식민 통치 384

제1절 일제의 식민 통치 384

Chapter 2 민족 독립 운동 393

제1절 1910년대 민족 운동 393

제2절 1920년대 국내 민족 운동 403

제3절 1920년대 국외 민족 운동 411

제4절 1930~40년대 민족 운동 417

Chapter 3 일제 강점기 사회⋅문화 운동 424

제1절 일제 강점기 문화 운동 424

제2절 일제 강점기 사회 운동 430



Chapter 1 광복과 정부 수립 436

제1절 광복과 해방 공간 436

제2절 대한민국 정부 수립 442

Chapter 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450

제1절 이승만, 장면 정부 450

제2절 박정희 정부 453

제3절 민주화 과정과 이후의 시대 457


Chapter 3 현대의 경제⋅사회⋅문화 463

제1절 현대의 경제 발전 463

제2절 현대의 사회 변동 466

제3절 현대 문화의 변화와 발전 469

Chapter 4 북한 체제의 형성과 통일을 위한 노력 472

제1절 북한사 472

제2절 통일을 위한 노력 474



부록1 유네스코 유산 482

부록2 역대 왕 계보 485

강의목차
No| 강의명| 무료보기| 자료| 강의시간
1회 1강 10월 17일 : p2 [ 역사의 의미와 한국사 ] WIDE HIGH LOW 56분
1회 2강 10월 17일 : p13 [ 고조선과 초기 국가의 성립 ] 51분
1회 3강 10월 17일 : p27 [ 삼국의 성립 ] 43분
1회 4강 10월 17일 : p29 [ 가야 연맹 ] 40분
2회 5강 10월 24일 : p45 [ 신라 중대 ] 53분
2회 6강 10월 24일 : p55 [ 남북국의 통치체제 ] 48분
2회 7강 10월 24일 : p63 [ 대외교류 ] 59분
2회 8강 10월 24일 : p74 [ 고대의 문화 ] 35분
3회 9강 10월 31일 : p79 [ 통일신라 불교의 특징 ] 65분
3회 10강 10월 31일 : p89 [ 불상과 공예 ] 49분
3회 11강 10월 31일 : p102 [ 광종의 정책 ] 41분
3회 12강 10월 31일 : p111 [ 문벌귀족 사회의 성립 ] 47분
4회 13강 11월 07일 : p118 [ 원간섭기의 정치적 변화 ] 58분
4회 14강 11월 07일 : p127 [ 몽골과의 충돌 ] 54분
4회 15강 11월 07일 : p138 [ 녹봉제도 ] 50분
4회 16강 11월 07일 : p152 [ 중세의 문화 ] 32분
5회 17강 11월 14일 : p159 [ 고려 중기의 불교 ] 59분
5회 18강 11월 14일 : p167 [ 청자와 공예 ] 56분
5회 19강 11월 14일 : p180 [ 세종의 유교정치 ] 50분
5회 20강 11월 14일 : p191 [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 35분
6회 21강 11월 21일 : p199 [ 임진왜란 ] 49분
6회 22강 11월 21일 : p208 [ 근세의 경제 ] 54분
6회 23강 11월 21일 : p219 [ 근세의 사회 ] 49분
6회 24강 11월 21일 : p231 [ 조선왕조실록 ] 40분
7회 25강 11월 28일 : p235 [ 성리학 융성 ] 64분
7회 26강 11월 28일 : p247 [ 문학과 예술 ] 50분
7회 27강 11월 28일 : p260 [ 영조의 탕평정치 ] 53분
7회 28강 11월 28일 : p269 [ 방납의 폐단 ] 42분
8회 29강 12월 05일 : p278 [ 상업과 상품화폐 경제의 발달 ] 54분
8회 30강 12월 05일 : p291 [ 천주교의 박해 ] 55분
8회 31강 12월 05일 : p303 [ 국학 연구 ] 40분
8회 32강 12월 05일 : p309 [ 서민 문화 ] 53분
9회 33강 12월 12일 : p324 [ 개화정책의 추진 ] 59분
9회 34강 12월 12일 : p336 [ 근대국가 수립운동 ] 60분
9회 35강 12월 12일 : p343 [ 2차 갑오개혁 ] 49분
9회 36강 12월 12일 : p353 [ 러·일전쟁 ] 35분
10회 37강 12월 19일 : p359 [ 애국계몽운동 ] 66분
10회 38강 12월 19일 : p372 [ 근대시기의 문화 ] 52분
10회 39강 12월 19일 : p378 [ 국학연구와 문화발전 ] 46분
10회 40강 12월 19일 : p389 [ 민족말살통치 ] 40분
11회 41강 12월 26일 : p394 [ (한국사)1910년대 국외 독립 운동 ] 65분
11회 42강 12월 26일 : p405 [ 쟁의 활동 ] 49분
11회 43강 12월 26일 : p412 [ 의열단 ] 46분
11회 44강 12월 26일 : p421 [ 1940년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 34분
12회 45강 01월 02일 : p426 [ 역사 연구 ] 66분
12회 46강 01월 02일 : p439 [ 신탁통치문제와 좌·우합작운동 ] 46분
12회 47강 01월 02일 : p439 [ 6·25전쟁 ] 52분
12회 48강 01월 02일 : p451 [ 4·19혁명 ] 45분
13회 49강 01월 09일 : p456 [ 유신 체제 ] 70분
13회 50강 01월 09일 : p463 [ 현대의 경제발전 ] 49분
13회 51강 01월 09일 : p466 [ 현대의 사회변동 ] 42분
13회 52강 01월 09일 : p475 [ 전두환 정부시기 통일을 위한 노력 ] -종강- 49분
직장인반 수강 안내
  • 예) 40일 강좌 수강시
    - 수강 시간 : 평일 18~06시만 수강 / 주말, 공휴일 24시간 수강
    - 수강 기간 : 원래 수강 기간 X 1.4배수(40일 X 1.4 = 56일)
    - 수강 중지 : 3회. 3회의 합은 56일까지
    - 수강 연장 : 3회. 1일 연장 수강료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강의 종료일까지만 연장 가능)
    - 수강 환불 : 환불일수는 원래 수강 기간 40일 기준(수강 중지시 환불 불가)
    - 직장인반은 일반강의로 변경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