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유의사항
(필독) |
★오태진 한국사 이것이 팩트!!!★ ①외우는걸 줄여주는 강의! ②왜인지 알게되어 명쾌해지는 강의! ③깨달아 명쾌해지는 강의!
▶언제까지 암기를 강요당할것인가?! ▶최신 경향은 암기만으로 대응할 수 없다! ▶이유를 알아야 외우는게 줄어든다! ▶한국사 100점을 위해!
|
강좌소개 |
- 2021년 오태진 한국사 심화이론 (11월) - 학원 강의진행일 : 11월 23일(월) <11월23일(월) ~ 12월11일(금) , 월~금 오전> - 동영상 업데이트 : 11월 23일(월) ▶ 교수님 카페 : http://cafe.daum.net/officialhistory
|
강좌특징 |
[수강대상]
[강좌기본] 1. “이해가 실력이다! 암기는 거들뿐” 입니다. 2. 동 시대에 발생한 사건을 유기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기출 사료와 새로운 사료를 해석하는 능력 기를수 있습니다. [강좌효과]
1. 도사국사의 서술 특성상 저절로 순서가 기억납니다. 2. 처음보는 사료여도 책에 나온 사료와 연관성을 찾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3. 너무 딱딱하지 않아서 지루하지 않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
No| | 강의명| | 무료보기| | 자료| | 강의시간 |
---|---|---|---|---|
1강 | 11월 23일 : OT | 29분 | ||
2강 | 11월 23일 : 1장 역사학의 연구방법론 p8~12 | 58분 | ||
3강 | 11월 23일 : 02. 선사문화와 국가의 형성 p14~15 | 51분 | ||
4강 | 11월 23일 : 2장 고조선 p16~23 | 62분 | ||
5강 | 11월 24일 : 1 삼국의 쟁패 - 고구려 p25~34 | 59분 | ||
6강 | 11월 24일 : 영양왕 (590~618) p34 | 48분 | ||
7강 | 11월 24일 : 1 삼국의 쟁패 - 신라 p25~34 | 53분 | ||
8강 | 11월 24일 : 태종 무열왕 (654~660 p34~37 | 48분 | ||
9강 | 11월 25일 : 발해 - 고왕 p36~41 | 65분 | ||
10강 | 11월 25일 : 삼국시대 p42~47 | 51분 | ||
11강 | 11월 25일 : 통일신라 중대·하대 - 불교 p48 | 41분 | ||
12강 | 11월 25일 : 통일신라 중대·하대 - 유교 p49~52 | 27분 | ||
13강 | 11월 26일 : 1 후삼국 (900~936)과 고려의 재통일 p54~55 | 57분 | ||
14강 | 11월 26일 : 2 고려 정치 상황의 전개 - 토지제도 p55~58 | 48분 | ||
15강 | 11월 26일 : 3 고려 전기의 통치 체제 p59~62 | 62분 | ||
16강 | 11월 26일 : 4 무신 정권의 성립 - 불교 p62~66 | 45분 | ||
17강 | 11월 27일 : 4 무신 정권의 성립 p62~66 | 57분 | ||
18강 | 11월 27일 : (1) 국가재정의 확보 및 운영 p68~72 | 46분 | ||
19강 | 11월 27일 : 1 고려의 신분제도: 양천제[법제적]↔4신분제[실제적] p73~79 | 56분 | ||
20강 | 11월 27일 : 3 불교 - 국교 p80~81 | 32분 | ||
21강 | 11월 30일 : 4. 고려시대 역사서의 편찬 p82~84 | 53분 | ||
22강 | 11월 30일 : 1. 조선의 건국 p86~88 | 47분 | ||
23강 | 11월 30일 : 사회제도 p88~91 | 48분 | ||
24강 | 11월 30일 : 세조 p92~93 | 51분 | ||
25강 | 12월 01일 : (1) 중앙관제 p94~96 | 48분 | ||
26강 | 12월 01일 : (3) 군사제도 p97~98 | 57분 | ||
27강 | 12월 01일 : (1) 사화가 일어나다 p99~100 | 57분 | ||
28강 | 12월 01일 : 임진왜란(1592) p100~102 | 36분 | ||
29강 | 12월 02일 : < 인조 > p103 | 56분 | ||
30강 | 12월 02일 : < 승용사림 > p103~104 | 54분 | ||
31강 | 12월 02일 : (5) 예송 → 환국 p104~105 | 63분 | ||
32강 | 12월 02일 : < 남인시파 > p105~106 | 44분 | ||
33강 | 12월 03일 : 4 세도정치 p107 | 53분 | ||
34강 | 12월 03일 : 울릉도와 독도 p108~112 | 55분 | ||
35강 | 12월 03일 : (2) 공납 - '현물징수' p112~114 | 64분 | ||
36강 | 12월 03일 : (3) 수공업·상업·포구·광업 p115~116 | 33분 | ||
37강 | 12월 04일 : 1 조선의 신분제도 p117~121 | 53분 | ||
38강 | 12월 04일 : '19세기 세도 정치 시기' p122~124 | 52분 | ||
39강 | 12월 04일 : (2) 14세기 - '주자성리학의 비판' vs '주자성리학의 절대화(교조화)' p125~127 | 58분 | ||
40강 | 12월 04일 : (4) 농업중심의 개혁론(18세기전반) - 경세치용 실학파 <정치> p127~128 | 33분 | ||
41강 | 12월 07일 : (1) 조선왕조실록 및 의궤 p132~133 | 64분 | ||
42강 | 12월 07일 : (1) 문서 . 지도 . 지리지 p134~140 | 48분 | ||
43강 | 12월 07일 : 1장 서세동점과 동아시아 3국의 대응 p142~147 | 52분 | ||
44강 | 12월 07일 : 임오군란 p147~151 | 37분 | ||
45강 | 12월 08일 : < 갑신정변 > p151~153 | 38분 | ||
46강 | 12월 08일 : 4장 아! 갑오년 - 동학농민운동·청일전쟁·갑오개혁 p154~159 | 54분 | ||
47강 | 12월 08일 : < 러일조약 > p159~164 | 44분 | ||
48강 | 12월 08일 : 8장 언론기관 p170~173 | 31분 | ||
49강 | 12월 09일 : 2 '문화통치'를 표방하다 p174~179 | 53분 | ||
50강 | 12월 09일 : 1 1910년대 독립운동 p179~183 | 40분 | ||
51강 | 12월 09일 : 5 대한민국 임시정부 p188 / 184~186 | 56분 | ||
52강 | 12월 09일 : 4 무장독립전쟁의 전개 p186~190 | 48분 | ||
53강 | 12월 10일 : 6 1920년대 실력양성운동과 사회운동 p190~196 | 46분 | ||
54강 | 12월 10일 : 1 1945 p198~200 | 52분 | ||
55강 | 12월 10일 : < 통일정부수립움직임 > p201~207 | 45분 | ||
56강 | 12월 10일 : (3) 6·25 전쟁 p208~215 | 53분 | ||
57강 | 12월 11일 : 5 제4공화국 - 유신(1972~1979) p216~218 | 57분 | ||
58강 | 12월 11일 : 1 이승만 정부 p219~221 | 41분 | ||
59강 | 12월 11일 : 대통령과 근로감독관에게 p221~223 | 40분 | ||
60강 | 12월 11일 : 2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p224~229 < 종 강 > | 38분 |